중국이 세계를 지배하면?
‘현대 경제사는 1978년을 분수령으로 하여 중국이 등장하기 전의 경제사(BC: Before China)와 중국 등장 이후의 경제사(AC: After China)로 구분해야 한다.’
1870년 미국이 경제 도약을 시작했을 때 미국 인구는 4000만이었고 성숙기에 들어선 1913년에는 9800만이었다. 일본이 한국전쟁을 계기로 경제 도약을 시작한 1950년 당시 인구는 8400만, 1973년엔 1억900만이었다. 이에 비해 개혁개방으로 도약을 시작한 1978년 당시 중국 인구는 9억6300만, 경제개발계획이 끝나는 2020년의 예상 인구는 14억. 경제도약 시작 시점 인구는 중국이 미국의 24배, 일본의 11.5배였고 2020년 인구는 1913년 미국 인구의 14배, 1973년 일본 인구의 13배로 추산된다.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2027년에 중국은 국내총생산(GDP) 규모에서 미국을 추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압도적인 인구와 미국보다 더 넓은 광대한 영토, 한국 등 동아시아 ‘호랑이’들을 능가하는 빠른 성장속도를 지닌 중국 경제가 세계 경제에 가할 충격효과는 그야말로 전례없는 것일 수 있다.
총인구뿐만 아니라 도시노동인구도 압도적이어서 앞으로 상당 기간 중국의 기세는 더욱 가파르게 가속화할 것이다. 중국 경제의 세계 경제 성장 기여도는 이미 1990년대에 27.1%로 미국의 21%를 능가했으며 세계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최근 수위자리에 올랐다. 아울러 그에 따른 막대한 자원수입 또한 세계 경제 지형을 바꿔놓고 있는 중국 경제의 충격에 가세하고 있다. 그리하여 중국은 한국, 일본,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 등 동아시아 최대의 교역, 투자 파트너가 됐을 뿐 아니라 인도 등 서남아시아와 이란 등의 중동지역, 나아가 아프리카와 중남미 국가들의 경제까지 중국 의존형으로 급속히 재편하면서 지구촌의 지정학적 구조까지 바꿔놓고 있다.
“냉정하게 생각하면 중국의 부상이 국제질서에 미칠 파장은 독일과 일본의 부상으로 나타난 결과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클 것이며, 심지어는 이를 계기로 세계가 새로운 역사시대로 접어들지도 모른다.” 런던정경대학 부설 국제관계 및 외교전략연구소 아시아경제연구센터 초빙 연구위원이며, 좌파 이론지 <마르크시즘 투데이>의 오랜 편집장이었고 <인디펜던트> 부편집장도 역임한 마틴 자크는 저서 <중국이 세계를 지배하면>에서 이 ‘새로운 역사시대’를 서구 지배의 종말로 받아들인다.
1800년 무렵까지만 해도 서유럽과 동아시아의 소득수준엔 차이가 없었다. 그 이후 서방 우위가 확립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 것은 석탄(산업혁명), 그리고 식민지 약탈이었다. 마틴 자크는 그렇게 해서 지속돼온 지난 2세기 동안의 서방 우위가 동아시아의 경제적 부상, 특히 압도적 규모의 중국 경제 압축성장으로 일거에 무너지면서 인간 역사가 전혀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고 본다. 그 파장은 미국의 부상과도 비교될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할 것이란다. 미국의 등장 역시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 영국으로 이어져온 서구 헤게모니 국가 전통의 연장선상에 있으나 중국은 문화와 전통·정치이념 등이 전혀 다른 비서방국이다. 그 점이 충격을 배가할 것이다. 팍스 아메리카나에서 팍스 시니카(Pax Cinica. 중국이 지배하는 세계평화)로! 그것은 곧 서구의 몰락이다.
“서구 국가들은 중국이 부상해도 세계는 그다지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여기에는 중요한 가정이 세 가지 있다. 첫째, 중국의 부상은 주로 경제적인 측면에 한정될 것이다. 둘째, 중국은 적당한 때가 되면 전형적인 서구 국가가 될 것이다. 셋째, 국제사회는 지금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할 것이며, 중국은 주어진 현상을 그대로 따르는 유순한 국가가 될 것이다. 그런데 이 세 가지 가정은 모두 잘못된 것이다. 중국의 부상으로 세계에는 거대한 지각변동이 일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가정들은 서방적 산업화, 근대화의 길이 유일무이한 것이고 표준이라고 맹신하는 데서 오는 착각이다. 서방(일본도 포함된다)의 근대화 과정이야말로 오히려 특수하고 예외적인 것이었다.
중국의 부상이 경제적인 측면에 한정될 것이며, 중국이 서구 사회를 닮아갈 것이라는 가정은 ‘역사의 종언’을 얘기했던 프랜시스 후쿠야마류의 관점을 연상시킨다. 중국의 부상을 바라보는 서방의 또다른 시각은 중국이 그렇게 ‘서구 모델’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 결국 실패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회의적인 또는 기대 섞인 눈길이다. 물론 이런 시각도 틀렸다.
제국주의 피해국들 가운데 강대국으로서는 처음으로 전 지구적 헤게모니 국가로 등장하고 있는 거대 중국은 과연 세게를 지배할것인가?